자바 Spring

23-01-31) 3강 스프링 MVC웹서비스

JadeStone 2023. 1. 31. 15:23

3강 교안파일

Spring_3강(웹서비스).pdf
0.58MB

 

★model 1 방식은 몰라도 됨.

★spring 에서는 mvc2 방식만 지원해줌 mvc1 방식은 지원 안함.

 

<Mode2방식>

*DAO 

-VO, DTO로 구성됨.

 

#Architecture (아주아주 중요함)

*아키텍쳐란 설계도라고 보면됨. 어떤식으로 동작하는지 알 수 있음. 

 

위에 사진 참고 사이트:

https://engkimbs.tistory.com/686

 

*  DispatcherServlet 

- 프론트 컨트롤러라고 함. 클라이언트에서의 모든 요청을 다 모아놓음.

- 모든걸 다 제어함.

* HandlerMapping

-url 주소를 분석한다음에 그 결과를 다시 DispatcherServlet으로 반환해줌.

-DispatcherServlet에서 HandlerAdapter으로 요청을 보내줌.

* HandlerAdapter

-요청을 적합한 Controller에 연결시켜줌.

* Controller

-Model 에 대한 데이터, view 즉 화면에대한 정보를 DispatcherServlet에 보내줌 .

* ViewResolver

 화면에 대한 정보를 받아서 완성된 뷰에대한 정보를 dispatcherServlet으로 다시 반환해줌.

* 받은  완성된 뷰에대한 정보(경로)를 View에 보내줌

* View는 완성된 정보를 forward방식으로 갖고 브라우저로 나감.

 

 

 

 

 

* /resources/** 라는 요청이 들어오면  location="/resources/" 라는 파일을 실행시켜달란 의미. 

* 뷰 리졸버

- 굉장히 중요함. 

-화면에대한 완벽한 경로를 만들어 줌.

 

*스프링 3버젼 부터는 반드시 이걸 사용하라고 권고되고 있음.

 

 

*여기가 개발자가 직접 만들어주는 부분임.

* model에 대한 정보는 모델에 주면됨

* view에 대한 정보는 view리졸버로.

 

 

 

 

 

동작 과정(구조)을 잘 알아두자.

 

나중에 부과적인 확장 기능들은 spring 문서에서 확인해야한다.

 

 

mvc 구조 작성 방법 내용:

https://docs.spring.io/spring-framework/docs/5.3.25/reference/html/web.html#spring-web

 

Web on Servlet Stack

This part of the reference documentation covers support for Servlet stack, WebSocket messaging that includes raw WebSocket interactions, WebSocket emulation through SockJS, and publish-subscribe messaging through STOMP as a sub-protocol over WebSocket. 4.1

docs.spring.io

 

위와 같은 내용들을 완전 초보자가 봐서 이해하기에는 좀 어려울 수 있다고하심.

나중에 어느정도 구조를 알고나서 그때가서 참고해보도록 하자.

 

문서만 봐도 수업에서 배운것 외에도 굉장히 많은 기능들이 있다.

선생님이 안타까운 점은 우리가 보통 배운것만 있다고 생각하는 것.

나중에 이런 문서를 통해서 많은 다양한 기능들, 내용들을 참고해보도록 하자.

 

나중에 스프링을 좀 잘하게되면 구글링에 의존하지말고  그보다는 이런 문서들을 더 참고해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자.